부도 일종의 패턴이다. 쉽게 말하면 돈을 버는 방식도 일종의 반복과 숙달이기 때문에 그 방법만 알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 그럼 당신의 마음에는 이런 의문이 생길 수 있다.
'그렇다면 왜 누구는 부자로 살아가고 누구는 빈자로 살아가는 건가요?'
아주 좋은 질문이다. 부를 이루는 패턴이 있음에도 부자와 빈자로 나뉘는 이유는 단 하나다. 바로 부를 얻으려는 태도다. 부자는 부를 얻기 위한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수용하고자 한다. 좋은 일이 있으면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나쁜 일이 있으면 곧바로 자신의 태도를 고친다. 무엇보다 거저 얻으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일확천금의 요행을 꿈꾸는 사람에게는 돈이 따라 붙질 않는다. 따라붙더라도 금세 도망가기 마련이다. 부를 얻기 위한 태도에 진정성이 없기 때문이다. 돈은 그런 사람을 단번에 알아차린다. 돈도 누울 자리 설 자리를 알기에 자기가 온당히 쓰여야 할 자리를 찾아간다. 자신의 쓰임을 올바르게 할 사람에게 기꺼이 자기를 내어주는 것이다. 나는 그래서 부자가 되는 사람은 따로 있다고 믿는다.
대부분의 사람은 부자를 꿈꾸지만 정작 부자처럼 생각하고 행동하지 않는다. 부자들은 돈에 대해 명확한 철학과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돈을 단지 생존을 위한 도구로만 보지 않는다. 돈에 대한 거시적이고도 미시적인 관점을 두루 고민하며, 왜 부자가 되어야만 하는지 자신만의 이유를 가지고 있다.
부자가 되는 일은 자갈길을 걷는 것과 같다. 돈에 대한 철학과 목적 없이 무작정 벌려고만 하면 언제라도 자갈에 걸려 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돈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한다. 하지만 돈을 벌어야 할 찰나의 순간이 오면 생각을 멈추고 즉시 행동해야 한다.

독일의 자산관리 전문가이자 라이프 코치인 이보네 젠은 <돈의 감정> 이라는 책에서 돈의 태도에 대해 의미 있는 메시지를 남겼다. 그녀는 백만장자부터 아르바이트생에 이르기까지 수만 명의 재정 상태와 근본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해줬다. 돈이 넉넉해도 늘 불안한 사람, 열심히 일해도 돈이 모이지 않은 사람, 돈을 써도 유쾌하지 않은 사람, 부자들을 질투하는 사람 등 다양한 내담자들을 상담하며 그녀가 내린 결론은 바로 이것이었다.
"돈을 대하는 태도가 인생을 결정한다."
그녀는 '부는 돈을 가장 귀하게 여기는 사람에게 흐른다
라고 강조하면서 돈과의 관계를 잘 쌓아야 한다고 말한다. 돈을 하나의 인격체로 보고 연인을 대하듯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입 10%를 투자하기로 했으면 반드시 그 약속을 지킴으로써 돈과 신의를 다져야 한다. 또 특정한 소비 활동이 즐거움을 주지 않는다면 그 행동을 즉시 멈춤으로써 돈과 좋은 감정을 유지해야 한다.
이보네 젠의 돈에 대한 태도는 내가 웰씽킹에서 강조한 내용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돈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을 거저 얻으려는 자와 진정성 있게 다가오는 자 중에서 누구에게 마음의 문을 열겠는가. 당연히 후자를 택할 것이다. 자신을 단지 생존의 도구 정도로 치부하는 자와 가치를 알아주는 자 중에서 누구를 택하겠는가. 이번에도 후자에게 마음을 열 것이다. 어떤가, 당신도 이제 부자가 될 사람이 따로 있다는 사실에 동의하는가?
결론적으로 말하면, 우리가 돈을 선택하는 게 아니다. 돈이 부자가 될 사람을 선택한다. 돈은 삶에서 중요하다. 돈과의 관계를 정립하지 않으면, 돈 때문에 생기는 스트레스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나에게 들어오지 않는다고 채근하고 무분별한 소비를 일삼으며, 감정에 따라 마음대로 욕하고 손가락질한다면, 과연 그런 당신을 돈이 선택하겠는가.

부자들은 돈에 대해 명확한 철학과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돈을 단지 생존을 위한 도구로만 보지 않는다. 돈에 대한 거시적이고도 미시적인 관점을 두루 고민하며, 왜 부자가 되어야만 하는지 자신만의 이유를 가지고 있다.
이말이 와닿는다. 자기계발서를 계속 읽으면서 작가들이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세분화하라는 것이다. 목표를 두루뭉실하게 갖지말고...
켈리최 또한 같은 말을 이야기 하고 있다. 부자들은 돈에 대해 명확한 철학과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누군가 나에게 '돈을 왜 벌려고 하느냐?' 라고 묻는다면 나는 뭐라고 대답을 할까? '여유롭게 살기위해서 또는 돈을 여유 있게 쓰려고 남부럽지 않게 살기위해서' 등등 그냥 모든 것이 구체적으로 되어 있지 않고 마치 하늘에 떠 있는 구름같다. 또 그냥 그 이유가 내 자신에 집중되어 있다. 그런 사람들은 ' 부자가 되는 일은 자갈길을 걷는 것과 같다. 돈에 대한 철학과 목적 없이 무작정 벌려고만 하면 언제라도 자갈에 걸려 넘어질 수 있다.' 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이 또한 굉장히 와닿은 말이다.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더라도 그것에 대한 목표와 철학이 분명하지 않다면 힘든일이 왔을때 포기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럼 어떤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할까? 목표는 꼭 거창해야 할까? 켈리최처럼 목표를 타인들을 위해서 돈이 흘러갈 수 있도록 올바른 방법으로 가게하기 위해로 잡아야 할까? 솔직히 좋은 말이기는 하지만 잘 와닿지는 않는다.
내가 블로글에 쓴 이지훈 변호사의 <공부이래도 안되면 포기하세요> 중에서 이지훈 변호사는 이렇게 이야기 했다.
"직업을 선택하는 데 국가에 봉사하고 사회에 공헌하려는 의도가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직업은 돈을 버는 것이 목적입니다. 백화점에 가면 좋은 물건들이 넘쳐나고 나는 그것이 갖고 싶은데 비쌉니다. 그래서 돈이 필요합니다. 말하자면 나는 눈앞에 아른거리는 저 옷을 사기 위해서 돈을 버는 겁니다. 여기에 더 이상 남의 시선을 의식한 사회적인 이유는 필요 없습니다. 욕망을 포장할 필요가 없습니다. 내가 갖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사기 위해서, 남들에게 멋있어 보이기 위해서, 잘난 척하고 싶어서, 누군가가 미워서, 이런 욕망들을 탐욕과 사치, 시기와 질투로 표현하고 폄하할 필요는 없습니다. 죄책감을 가질 필요도 없습니다. 내 안의 욕망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좋은 에너지로 연결하십시오. (중략)
탐욕스럽고 겉멋만 잔뜩 든 것은 나쁜 것이 아닙니다. 인정하십시오. 이제는 그것을 채우기 우해 외형을 갖출 일만 남은 것입니다. '변호사가 되면 폼날 것 같아.' 그러면 변호사가 되기 위해 빡세게 공부하는 겁니다. 그리고 그것을 해내십시오. 더 이상 다른 거룩한 이유는 필요 없습니다.
이지훈 변호사<공부이래도 안되면 포기하세요>중에서~
그렇다 목표가 꼭 사회와 인류를 위해 공헌하기 위해 이바지한다 던지 못 사는 사람들을 잘 살기 위해 기부하기 위해서 라던지 꼭 그렇게 와닿지 않게 거창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것은 나중에 어느 정도 단계에 올라섰을 때 생각할 부분일지 모르겠다. 지금은 강력한 동기부여가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강력한 동기부여는 밖에 있지 않고 내안에 있다. 그것을 얼마만큼 강하게 만들어 에너지로 연결시키느냐가 중요하다. 그 또한 거시적이고 미시적으로 철학을 가지고 강력하게 세운다면 그게 나의 선한 영향력이 될 것이다. 오늘도 켈리최와 이지훈 변호사에게 감사를 보낸다.
https://runthink0621.tistory.com/44
더 이상 다른 거룩한 이유는 필요 없습니다.
영화 에서 패기 넘치는 젊은 시절의 주인공은 '질투는 나의 힘' 이라고 말합니다. 물론 주인공의 질투심이 주인공을 파멸로 이끌었을 수도 있지만, 질투라는 욕망은 주인공의 삶을 이끄는 원동
runthink0621.tistory.com
'Vivid Dream Realiz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웰씽킹<그모든 비밀은 웰씽킹에 있다> 느낀점! (60) | 2023.11.27 |
---|---|
웰씽킹 <그 모든 비밀은 웰씽킹에 있다> 느낀 점! (49) | 2023.11.25 |
웰씽킹 <당신은 성공의 불씨를 이미 얻었다.> 느낀점! (48) | 2023.11.22 |
웰씽킹<당신은 이미 성공의 불씨를 얻었다> 느낀 점! (49) | 2023.11.21 |
당신에게도 부자에 대한 '르상티망' 이 있는가? 느낀 점! (37) | 202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