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부자로 만드는 것은 수입이 아니다. 한 달에 200만 원의 월급을 받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사람은 200만 원에 상응하는 생활 패턴을 가지고 가계를 꾸릴 것이다. 식비부터 공과금, 저축과 보험, 자기계발비 등, 그리고 200만 원이라는 수입에 맞춰 생활하지 않으면 곧 어려움이 닥칠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이런 상황을 극복하고 금전적으로 여유로운 삶을 살고자 더 많은 수입을 원하게 된다. 하지만 아쉽게도 더 많은 수입을 얻늗다고 부자가 될 수 있는 건 아니다.
이 사람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300만 원, 500만 원 그리고 1000만 원의 월급을 받게 된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라는 말이다. 월급이 오르면 그에 상응하는 생활 패턴을 갖게 될 것이고, 향후 상승될 월급에 대한 기대심리까지 반영되어 소비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농후하다. 즉, 부자가 되는 것은 수입이 아니라 소비 습관에 달렸다.
역사상 돈은 한순간도 인간의 관심 밖에 있었던 적이 없다. 까마득한 아주 먼 옛날에도 잉여 산물들이 물물교환의 형태를 띠고서 화폐로 사용되었다. 지금은 또 어떠한가 비트코인이라는 새로운 화폐의 등장과 주식에 대한 지대한 관심, 거기다 금에 다이아몬드까지, 인류의 역사는 돈의 역사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다만 돈에 대한 관심은 어떻게 된 일인지 '수입' 에만 초점이 맞춰진 듯하다.
사실 부자인지 아닌지는 생각보다 돈을 많이 버는 것과는 상관이 없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돈을 많이 벌면 많이 쓰기 때문이다. 진짜 부자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돈을 쓰고 남은 순자산이 얼마인지를 봐야 한다.
나는 한 달에 한 번 순자산이 얼마인지를 계산한다. 자신이 줄어들고 있는지 늘어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지출을 통제하는 것이다. 순수 현찰과 지금 당장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이 얼마나 있는지, 회사의 운영 자금을 제외한 나머지 자산과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계산해본다.
그런 의미에서 지출을 통제하는 게 부자로 들어서는 관문이라고 볼 수 있다. 좋은 차를 타고 명품 옷을 입어 부자처럼 보이는 사람들이, 알고 보면 자산은 별로 없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또 일을 해야만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저축하고 종잣돈을 만들어 돈을 불릴 만한 일에 투자하는 것이다. 당장의 욕구를 해소시키기 위해 함부로 소비해선 안 되며, 또 소비 그 자체를 경제력과 자산으로 착각하면 안 된다. 대부분의 물건은 사는 즉시 값어치가 하락한다. 이 사실을 소비하기 전에 늘 상기해야 한다. 한 사람이 직접 노동을 통해 벌 수 있는 돈은 한계가 있다. 우리가 부라고 부를 정도의 제력은 대부분 돈을 벌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내가 돈을 위해서 일하는 게 아니라 돈이 나를 위해서 일하는 것이다. 고로 부의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소비를 통제하여 절약해야 한다. 눈덩이를 만들려면 일단 눈을 뭉쳐야 하듯이, 부를 쌓으려면 일단 뭉칫돈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굴릴 수 있고 크기를 키울 수 있다. 이것이 웰씽킹의 가장 기초적인 생각이다.
켈리최< 웰씽킹 중에서 "당신은 이미 성공의 불씨를 얻었다>
평소에 알고 있었던 이야기를 다시 상기시켜주는 글이다. 보통 우리는 한 달에 얼마만 좀 더 벌었으면 한다고 주위 사람들에게 이야기한다. 내 수입이 한 달에 500만 원만 되면 좋겠다. 내 수입이 한 달에 1,000만 원만 되면 좋겠다. 연봉이 5억 인 사람은 얼마나 좋을까? 등등... 이글에서 꼬집어주는 소비습관! 소비습관을 확인하고 통제하지 않으면 한 달에 얼마를 벌어도 그 사람은 자신을 위해 일하는게 아니라 돈을 위해 일한다는 말이다. 사람들은 자신을 위해서 일한다고 생각 하지만 그것은 착각이고 돈을 쓰기위해서 일을 하는 것이다. 요즘 흔히 말하는 '경제적 자유' 에 대해 관심이 많이 있다. 경제적 자유를 생각하면 돈을 쓰는 것에 구애받지 않고 마음껏 쓰고 사는 삶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지난 주에 아울렛에 갔는데 사고 싶은 물건은 엄청나게 많은데 사지는 못한다 이게 참 서글프다. 그러면서 경제적 자유를 동경한다. 그리고 자기계발서를 보며 부자가 되기를 꿈꾼다. 하지만 정작 나의 소비습관은 어떤지 생각을 하지 않았다. 저축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한달에 얼마나 소비를 하고 있는지 어떤곳에 돈을 쓰고 있는지 그런 것들을 파악해야 할 것 같다.
부자가 되려면 종잣돈을 만들어야 한다. 켈리최가 언급했듯 눈덩이를 만들려면 눈뭉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듯이 부자가 되려면 종잣돈을 만들어야 하고 종잣돈을 만들려면 돈뭉치를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부를 만들기 위한 초석을 다지는 일이라는 것이다. 수입과 지출을 확인해야 한다. 저축하는 습관을 들여서 수입이 늘어났을 때 수입에 따라 소비가 늘어나는 것을 관리해야 한다. 그것이 부자가 되기 위해 만들어야 할 첫번째 시스템이다. 켈리최에게 감사하다.
'Vivid Dream Realiz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모든 비밀은 웰씽킹에 있다> 웰씽킹 중에서~느낀 점! (44) | 2023.11.24 |
---|---|
웰씽킹 <당신은 성공의 불씨를 이미 얻었다.> 느낀점! (48) | 2023.11.22 |
당신에게도 부자에 대한 '르상티망' 이 있는가? 느낀 점! (37) | 2023.11.18 |
사업가는 돈을 벌어야 한다. 돈을 벌지 못하는 사업가는 죄인이다. (44) | 2023.11.17 |
부자는 단순히 돈이 많은 사람을 의미하는게 아니다. (51) | 2023.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