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vid Dream Realization

정주영과 이병철 두 사람의 공통점은? 2

by 마음의 문으로 2023. 11. 7.
728x90
반응형

물론 전적으로 맞는 말이다. 하지만 나는 좀 더 본질적인 이야기를 하고 싶다. 이병철의 '인재경영' 과 정주영의 '의지경영' 은 어디서부터 비롯되었는가를 말하고 싶다. 이병철의 인재경영은 '논어' 에서 나왔고 정주영의 '의지경영' 은 '채근담' 과 '대학' 을 비롯한 여러 고전에서 나왔다.

이병철은 자서전에서 자신의 모든 경영 비법은 '논어' 로 부터 비롯되었다고 고백한 바 있다. 그리고 경영의 지혜를 갈구하던 청년 이건희에게 단 한 권의 책을 추천했는데 '논어' 였다. 여기에 더해 '장자' , '달생' 편에 나오는 '목계' 를 경영 교훈으로 물려주었다.

정주영은 자서전에서 고백했다. 고령교 복구공사 위기 때는 '채근담' 현대건설 해외 진출을 앞두고는 '대학' 의 지혜를 활용해 위기에서 벗어나고 새로운 도전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정주영이 이 두사례에서만 고전의 지혜를 활용했을까? 당연히 아니다. 그는 고전에서 직접 발췌한 글귀들을 한문으로 써서 액자에 담아두고 그것을 늘 되새기면서 영감을 받았던 것으로 유명하다, 그렇게 그는 고전의 지혜를 토대로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성공을 거두었다.

회사를 세우는 이도, 회사를 이끄는 이도. 회사에서 일하는 이도, 회사의 고객이 되는 이도 인간이다. 즉 경영은 인간이다. 인문고전이 다른 어떤 분야보다 특히 경영에서 진가를 발휘하는 것은 고전이 길게는 수천 년 짧게는 수백 년 동안 각 시대의 리더들에게 철저하게 검증받은 인간에 관한 최고의 지침서이기 때문이다. 각 시대의 리더들은 문학고전을 통해서 인간의 마음을 철학고전을 통해서 인간의 생각을 역사고전을 통해서 인간의 삶을 배웠다. 그리고 자신의 배움을 국가, 군대, 기업 등의 경영에 활용했다.

만일 당신이 이병철, 정주영 이상의 인문고전 독서가가 된다면

 

이병철과 정주영이 경영인을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겠지만, 나는 경영자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고 싶다.

어쩌면 당신이 이제껏 이병철, 정주영 이상의 성과를 올리지 못한 것은 그들만큼 인문고전을 읽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만일 당신이 이병철, 정주영 이상의 인문고전 독서가가 된다면 당신의 회사는 어떻게 변화할까?

경영자 밑에서 일하고 있는 직원이라는 신분을 가지고 있는 언젠게나는 CEO가 되거나 아니면 스스로 회사를 창업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도 동일한 질문을 던질 수 있겠다.

어쩌면 당신이 이제껏 혁명적인 변화 없는 회사생활을 꾸려온 것은 당신의 삶에 이병철, 정주영 같은 수준의 독서가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만일 당신이 이병철, 정주영 이상의 인문고전 독서가가 된다면 회사내에서 당신의 지위는 어떻게 바뀔까? 그리고 먼 후일 당신이 창업하게 될 기업은 어떤 모습일까?

 

이지성 <리딩으로 리드하라> 중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