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vid Dream Realization

웰씽킹 '시각화' 느낀 점!

by 마음의 문으로 2023. 12. 18.
728x90
반응형

만약 당신이 나에게 성공을 이루는 핵심요소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나는 주저하지 않고 '시각화'라고 대답할 것이다. 시각화는 웰씽킹의 정수다. 시각화란 내가 원하는 가장 이상적인 삶을 상상하며 잠재의식 속에 이미지를 심는 일로 나 역시 부를 이루기 위해 단 하루도 빠짐없이 시각화를 실천했다. 

웰씽킹을 실천하기 전의 나는 그저 10억 원을 빚진 사람이었을 뿐이다. 열심히 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지혜롭게 열심히 살아야 한다. 여기서 지혜롭다는 말은 방향성을 갖는다는 의미다. 원하는 것에만 집중하는 일이다. 내가 가고자 하는 곳에만 집중하고, 가고 싶지 않은 곳은 생각도 하지 않는 일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끈기가 중요하다고 계속 강조했다. 끈기는 완전히 몸에 배어 물아일체가 되었을 때 비로소 효과가 나타난다. 하지만 끈기를 갖는 게 어디 쉬운 일이던가. 왜 뜨거운 의지와 열망은 오래가지 못할까. 바로 잠재의식에 내재된 부정적인 생각  때문이다. 당신이 목표를 이루고자 한다면 잠재의식의 중요성을 배워야 한다.

인간은 3초마다 새로운 생각을 한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3초마다 한번씩 무의식이 생각을 올려 보낸다. 잠재의식은 의식적인 생각보다 3만 배나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 무의식은 태어나서 보고, 듣고, 배운 모든 것을 기억한다. 스쳐 지나간 경험까지도 자세하게 기억한다. 잠재의식은 모든 순간을 기록하고 기억하기 때문에, 일종의 알고리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독서를 예로 들어보자. 책을 읽고 나면 아무것도 기억에 남는 것 같지 않지만, 결정적이 순간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때가 있다. 이게 의식적으로 떠올릴 수 는 없지만 필요한 순간에는 떠오르는 잠재의식의 힘이다.

 

1%의 사람의 96%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시대다. 이는 초능력이 아니다. 1% 사람들은 끌어당김의 법칙, 생각 파워, 시각화, 심상화 등의 방법을 사용해 이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는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이자 지혜롭게 열심히 산 사람들의 성공 비법이었다. 나는 공부도 못하고 잘난 것도 없고 가난했지만 이 방법만은  먹어버리겠다고 결심했다.

잠재의식의 알고리즘은 내가 원하지 않는 곳으로 나를 인도하며 삶을 좌지우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진정으로 이루고 싶어 하는 것도 쉽게 포기하게 된다. 하지만 잠재의식의 알고리즘이 나쁜 것은 아니다. 이를 반대로 이용하면 성공의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

3년 동안 단 하나의 목표에 집중하는 게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능하다. 끈기를 가지고 집중하면 인간은 5년 안에 웬만한 목표는 다 이룰 수 있다. 그렇기에 지금 하는 일에 포기하고픈 마음이 생겼다면, 처음의 의지를 망각했다는 뜻이다. 시각화의 핵심은 이 처음의 의지를 오랫동안 지속시키는 데 있다.

잠재의식의 힘을 이용해 아주 즐겁게 꿈을 향해 가야 한다.

 

시각화가 중요한 이유는 잠재의식 속에 갇힌 잘못된 정보를 정화시키기 때문이다. 우리는 의식적으로 살아간다고 믿지만, 사실 잠재의식의 알고리즘에 지배받고 있다. 그래서 잠재의식에 심어져 있는 잘못된 심상들을 지우는 작업을 해야 한다.

 

'어디 아프니?' 라는 말을 친구에게, 같이 일하는 동료에게, 그리고 저녁에 또 다른 사람에게 반복해서 듣게 되면 그 순간부터 정말 아프기 시작한다. 생각보다 엄청 빠른 속도로 거짓된 정보가 잠재의식 속에 박히는 것이다. 사람은 세 번만 실패해도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잠재의식의 알고리즘이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정보를 투영했기  때문이다.

 인간의 가능성에 대해 논할 때, 말뚝에 묶인 어린 코끼리 비유를 많이 든다. 어린 코끼리 한 마리가 말뚝에 묶여 있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어린 코끼리는 자유라는 본능 때문에 몇 번이고 벗어나려고 시도했을 것이다. 하지만 자기보다 강한 말뚝 때문에 '나는 벗어날 수 없어' , '그냥 이렇게 사는 게 나의 삶이야'라고 부정적인 생각을 잠재의식 속에 계속 저장하게 된 것이다. 결국 어린 코끼리는 어른이 되어 말뚝을 뽑고 남을 만큼의 힘을 갖고도 그것을 절대 뽑을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더 큰 문제는 자기 새끼들에게도 분명 그렇게 가르칠 것이라는 사실이다.

어쩌면 당신도 '나는 절대 할 수 없어' 라는 말뚝에서 도망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충분히 그것을 뽑아내고 푸른 평원으로 나아갈 수 있음에도, 스스로를 구속하고 있는 건 아닐까. 시각화는 당신을 옴짝달싹 못 하게 만드는 말뚝을 오직 당신의 힘으로 뽑는 일이다. 당신의 삶에 새로운 에너지와 기운을 집중시키고 마침내 자유를 얻는 일이다. 무엇보다 당신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마음껏 상상하며 온 우주의 기운을 수용하는 일이다.

 

실패가 무서운 이유는 실패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실패의 패배감에 익숙해지기 때문이 아닐까? 라고 누군가 이야기 했다. 그렇다 언젠가부터 일이 뜻하는데로 잘 되지 않고 하는 일마다 문제가 생기면 사는게 원래 그런거야 그러니 그냥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어 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진정으로 그렇게 생각하면 인생은 실패에 늪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인생은 행복한일로 가득해야 한다. 나에겐 그럴 자격이 있다. 선택을 해야한다. 나는 더 이상 실패에 늪에서 허덕이지 않겠다고 우울하고 슬프고 힘들고 그런 일들은 과거에 일이라고 말이다.  안좋은 일들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지 말자. 그런 것들은 그냥 통과시켜버리면 된다. 내 마음은 큰 원형의 동그란 관을 가지고 있다고 상상하자. 그 커다란 관을 통해서 안좋은 것들이 통과하여 지나간다고 생각하자. 그리고 내가 원하고 마음에 들어하는 좋은 것들은 나에게 남는 다고 생각하자. 실패는 그냥 과거의 경험이다. 실패에서 배우고 앞으론 좋은 선택을 하도록 하자. 

마음의 관을 통해 통과시키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