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vid Dream Realization

더 나은 상황은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니 기다려서는 안된다.

by 마음의 문으로 2023. 9. 7.
728x90
반응형

사람들이 포기하고 싶어지는 지점까지 오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백하자면 지금껏 살아오면서 내게도 뭔가를 포기하려 했던 경험이 세 차례 있다. 특히 세 번째 상황이 가장 극단적이었다. 그 일을 극복하고 난 후 몇 주일이 더 지나서야 나는  당시 내가 처해 있던 상황을 좀 더 명확히 직시할 수 있었다. 이윽고 다음과 같은 의문이 들었다. '나는 왜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강렬해지는 지점까지 나를 이끌었는가?'

시간을 들여 진지하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았다. 내 지혜로운 코치에게도 조언을 구했고, 대가들이 쓴 책들도 탐독해보았다.  이유는 당시 상황을 둘러싼 성격적 약점 때문이었다.

첫째, 나는 내가 실패를 내가 처한 환경과 상황 탓으로 돌렸다. 성공하려면 환경과 상황, 흐름을 내것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내 것으로 만들기는 커녕 그것들은 언제나 '내가 할 수 없은 이유' 의 훌륭한 구실이 되어주었다. 어떤 일에 성공하려면 '변화' 가 있어야 하는데, 나는 무엇보다 나 자신을 변화. 개선 시킬 의지가 없었다.

주변 환경과 조건을 내 것으로 만들려면, 그것들을 내 쪽으로 끌어당겨서는 안 된다. 내가 그쪽으로 갈 줄 알아야한다. 산을 옮기려면 내가 산으로 가야한다. 산이 내게 와주는 경우는 없다.

둘째, 나는 오만했다. 나는 스스로 모든 것에 대한 답을 갖고 있었다. 독일의 문호 괴테는 이렇게 말했다. "인간은 모두 무언가 되고 싶어한다. 하지만 그 누구도 무언가가 되려고 노력하지는 않는다."

괴테

참된성장을 원한다면서 먼 저 배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성장의 과정은 학교 시스템과 비슷하다. 1학년에서 시작해 2학년으로, 그리고 3학년으로 올라간다. 영리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배후에 있는 원칙은 실력이 좋아질수록 더 큰 경기에 나갈 수 있다이다. 하지만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 시스템을 포기한다. 그들은 더 큰 경기에 나갈 궁리만 할 뿐 더 큰경기에 걸맞는 실력을 갖췄는가에 대한 검토엔 매우 인색하다. 목표는 언제나 '실력을 갖추는 것' 이다.

성장과 성공을 원하는 사람은 예외 없이 1학년 교실에 들어가 기초를 배워나가야 한다. 먼저 1만달러를 저축하고 투자하는 법을 배운 후에야 10만 달러를 모으고 투자하는 법을 터득할 수 있다. 사칙연산을 모르는 학생이 미적분을 풀 수 없는 이치와 같다. 우리는 이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다만 모른척 외면할 뿐이다.

더 나은 상황은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니 기다려서는 안된다.

셋째, 나 자신에 대한 믿음이 없었다. 스스로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내 자신이 적합지 않다고 여겼다. 어떤 일을 시작할 때는 결과를 예단해서는 안된다. 명쾌한 결과를 가져다주는 일은 세상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좋은 결과를 기대하려면, 그 일에 집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무엇이 먼저인지, 우선순위를 정하는 연습을 충분히 하면 인생은 달라진다.결과 또한 달라진다. 결과는 고정적이지 않다. 언제, 어떻게, 어떤 태도로 접근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바뀐다.<계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