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vid Dream Realization
프레임효과
마음의 문으로
2023. 9. 2. 22:45
728x90
반응형
프레임효과
사람의 뇌는 부정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누군가가 당신에게 “코끼리를 생각하지 마세요!”라는 말을 했습니다.
지금 당신은 어떤가요? 누군가의 말처럼 코끼리 생각이 나지 않습니까? 코끼리를 생각하지 않으려고 하면 할수록 동물원 한 번 가보지 않았는데도 코끼리의 모습이 점점 선명해질 것입니다.
뇌한테 뭘 하지 말라고 할수록 오히려 강조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그래서 긍정형으로 바꾸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소파에서 아이들이 음식을 먹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아이들에게 “소파에서 먹지 말아라!” 대신 “식탁에서 먹어라!”라고 이야기하는 게 좋습니다.
사람에게는 하길 바라는 바를 말해야지 하지 말라고 하면 안 됩니다.
파일럿들은 이런 뇌의 성질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저 장애물에 박으면 안 돼”라고 생각하면 가서 박게 된다는 걸 압니다.
그렇게 되면 장애물에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스키 선수들도 알고 있습니다. “나무를 피해” 그럼 눈에 나무밖에 안 보입니다. 나무밖에 안보여서 이 많은 나무를 어떻게 다 피하나 싶습니다. 대신 "길을 따라가"라고 하면"눈길을 따라가”라고 생각하는 거죠. 그럼 이제 길에 집중해서 나무가 안보이죠. 나무 사이가 사실은 넓다는 게 보입니다.
당신도 똑같습니다. 장애물에 집중하면 장애물만 보입니다. 나무 사잇길에 집중하면 나무 사이에 길만 보이게 됩니다.
보통 우리는 어떤 문제에 직면하면 그 상황에 빠져듭니다. 이를 프레임에 갇혔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