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vid Dream Realization

청년이 사용한 VD 기법을 '장소VD기법' 이라고 한다.

마음의 문으로 2023. 8. 31. 23:52
728x90
반응형

지금으로부터 수십 년 전의 일이다. 오스트리아에 한 소년이 살았다. 몸이 허약해서 '말라깽이' 라는 별명을 갖고 있었던 그 소년의 꿈은 근육질 사나이가 되는 것이었다. 그것도 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근육 맨들이 모여서 겨루는 미스터 유니버스 대회의 우승자가 되는 것이었다. 물론 현실적으로 보면 말도 안 되는 소리였다. 그래서 다들 소년의 꿈을 비웃거나 무시했다. 하지만 소년은 비현실적인 소망을 현실로 바꾸는 꿈의 공식, R=VD를 알고 있었다. 소년은 매일 미스터 유니버스의 승자가 된 자신의 모습을 생생하게 꿈 꾸었다.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 는 말은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첫째, 바라는 것이 선물처럼 거저 주어지는 경우

둘째, 바라는 것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이 주어지는 경우.

소년은 두 번째 경우였다. 소년이 마음의 눈으로 생생하게 바라보았던 꿈의 영상은, 소년으로 하여금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계속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해주었다. 소년은 청년이 되었고 마침내 미스터유니버스 대회에 참가 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되었다. 말라깽이라고 놀림 받던 처지에서 오스트리아 최고의 근육질 사나이가 된 것이다.

미스터 유니버스 대회장에 도착한 청년은 특이한 행동을 하기 시작했다. 틈만 나면 우승자의 포즈를 취하면서 대회장을 돌아다닌 것이다. 그러다가는 갑자기 멈추어 서서 진지하게 두눈을 감았다. 이미 우승자가 되어 있는 자신의 모습을 생생하게 느끼기 위해서였다. 

 만일 당신이 그때 청년을 보았다면 미스터 유니버스 대회가 이미 끝났고, 청년이 바로 우승자라고 믿었을 것이다. 청년의 행동은 그 정도로 확신에 차 있었다. 그 간절한 소망의 힘 덕분이었을까? 청년은 진짜로 그 해 미스터유니버스가 되었다. 청년이 사용한 VD 기법을 '장소VD기법' 이라고 한다.

미스터 유니버스가 된 청년은 영화배우로 성공하고자 할리우드로 향했다. 이 문장만 읽으면 별로 실감이 나지 않을 것이다. 영화배우로 성공하겠다며 충무로로 향하는 인도 육상 챔피어, 파키스탄 기계체조 챔피언, 미얀마 헬스 챔피언을 한번 생각해보라. 세 사람이 10년 뒤에 설경구, 최민식, 송강호 같은 배우로 성장할 확률을 한번 생각해보라. 청년의 경우가 이와 유사했다. 당연히 오디션에도 합격하지 못했다. 하지만 청년은 걱정하지 않았다. 대신 할리우드 촬영장을 찾아다니면서 할리우드에서 가장 유명한 배우가 된 자신의 모습을 생생히 그렸다. 미스터 유니버스 대회에 참가했을 때처럼 장소VD 기법을 사용했다.

청년의 VD는 결국 이루어졌다. 아마 당신도 이 청년이 주인공으로 열연한 영화를 한 편쯤은 보았을 것이다. 그의 이름은 아놀드 슈워제네거, 대표작은 <터미네이터>시리즈다.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장소VD 기법' 을 실천하는 것만으로 오늘날의 스타가 되었다고 단정 짓기에는 무리기 있지 않으냐는 질문이 나올 수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그가 이미 오래전에 이렇게 대답한 바 있다.

 

"소년 시절부터 저는 생생하게 꿈꾸는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진심으로 믿었습니다. 그 사실을 의심해본 적이 단 한번도 없습니다. 이런 마음자세는 기적을 불러들입니다. 저는 처음 참가한 미스터 유니버스 대회에서, 이미 우승자가 된 나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리면서 대회장 안을 부지런히 돌아다녔습니다. 영화배우로 진로를 바꿨을 때도 똑같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그 결과 제가 꿈꾸었던 모든 것을 현실에서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아놀드 슈워제네거>

 

참고로 말하면, 그는 자신의 성공비결을 묻는 질문에 거의 항상 '장소VD 기법' 을 언급했으며 물리적인 노력의 힘은 언급한 적이 별로 없다. 아마도 그는 이런 메시를 전달하고 싶었던 듯하다. 아무리 불가능하게 보이는 목표라도, 생생하게 꿈꾸면 그 목표를 달성하게 해주는 초인적인 내면의 힘이 저절로 생겨나고 그 힘이 멈추지 않게 만든다고.

이지성 <꿈꾸는 다락방>중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