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vid Dream Realization

그래서 심리학은 긍정적인 생각이 인간을 행복하게 한다고 말한다.

마음의 문으로 2023. 7. 29. 16:12
728x90
반응형

목표 설정과 관련된 사항뿐만 아니라 긍정적으로 생각하라는 것도 실패해도 계속 시도하라는 것도 심리학에서 말하는 행복의 근원이다. 인간의 뇌는 사진기가 아니다. 사진기는 있는 그대로를 찍는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가감 없이 보여준다. 방 안을 찍었는데 자기 마음에 드는 것은 찍히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은 찍히지 않는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사람의 마음은 사진기가 아니다. 강력한 필터가 작용해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 자신이 찾는 정보를 주로 받아들인다. 사람의 인지는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이라는 필터를 거쳐서 선별적으로 받아들인다는 것, 그것이 바로 현대 심리학이 밝혀낸 주요 성과 중 하나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게 중요한 이유는 바로 그 때문이다. 가장 좋은 것은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뇌, 인간의 지각은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불가능하다. 자신의 마음이라는 필터를 거쳐서 정보가 들어온다. 그런데 이때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으면 부정적인 것과 관련된 정보가 들어온다.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으면 긍정적인 것과 관련된 정보가 들어온다. '사업의 성공'을 의식하고 있으면 인터넷 검색을 할 때도 누가 어떻게 해서 잘되었다는 정보가 눈에 잘 띈다. 하지만 '나는 부자가 되기 어려워' 라고 생각한다면 왜 지금 사회에서 부자가 되기 어려운지, 댜른 사람들이 얼마나 어렵게 살고 있는지, 현재 사회가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가득 눈에 띌 것이다. 그래서 심리학은 긍정적인 생각이 인간을 행복하게 한다고 말한다.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심리학에서 제시하는 행복의 길이다.
또 심리학에는 '회복탄력성' 이라는 개념이 있다. 똑같은 불행을 겪어도 어떤 사람들은 그 불행을 이겨내고, 어떤 사람들은 그 불행 속에소 벗어나지 못한다. 불행 속에서 벗어나는 힘이 회복탄력성이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비록 현재 어려움 속에 있다고 해도 그 어려움을 툭툭 털고 새로 시작한다. 그런데 회복탄력성이 낮은 사람은 현재의 불행을 계속 간직한다. 어떤 사람이 더 행복한 삶을 살까? 당연히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이 더 행복하다. 회복타력성이 높은 사람은 불행에서 빨리 벗어나 다시 행복을 추구한다.
 자기계발서는 실패해도 계속 시도하라고 한다. 이것이 심리학에서 말하는 회복탄력성이다. 실패에서 빨리 벗어나 이전의 실패를 지우고 새로 시작할 때, 불행에서 벗어나 행복해질 수 있다. 실패했을 때 그 실패속에서 계속 허우적거리면 회복탄력성이 낮은 것이다.
결국 목표를 설정하고 계속 추구하라는 것, 긍정적으로 생각하라는 것, 실패해도 계속 시도하라는 것 등 자기계발서의 주 내용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행복해지는 방법과 같다. 자기계발서는 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쓰인 것이다. 믿고 따라도 된다.

최성락 교수<나는 자기계발서를 읽고 벤츠를 샀다>중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