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vid Dream Realization

켈리최<부를 위한 초석, 생각의 뿌리 > 느낀 점!

마음의 문으로 2023. 12. 5. 06:09
728x90
반응형

세 번째 뿌리, 선언

 

아무리 확고한 결단도 머릿속에만 있다면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선언하라. 자기의 삶을 진취적으로 이끄는 사람은 선언할 수 있어야 한다. 결단을 내린 후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선언해야 한다.

나는 결단과 선언을 즐긴다. 그래서 달성하고 싶은 목표가 생기면 주변 사람들에게 선언한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나 자신에게 선언하는 일이다. 선언은 탈선하지 않고 목적지에 다다를 수 있도록, 또 여러 갈래로 나뉜 길에서 한눈을 팔지 않도록 가드레일을 설치하는 작업이다. 선언을 하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수월하게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다. (중략) 그러므로 목표를 이루고 싶다면 반드시 선언하라. 내가 결단을 내렸고 목표로 가는 길에 들어섰다는 사실을 만방에 알려라

생각의 뿌리! 선언과 믿음

 

작심삼일일지라도 3일마다 다시 작심하는 사람이 반드시 성공한다. 그러니 선언을 두려워하지 말자. 선언에는 목표를 향해 가드레일을 설치한다는 점 외에도 많은 장점이 있다. 선언은 포기의 순간에 내가 혼자가 아님을 깨우쳐주는 힘이다. 내가 결단하고 선언한 목표가 혼자만의 길이 아님을 알게 하는 경전이다. 그런 의미에서 묻는다.

 

당신은 어떤 뜨거운 결정을 내렸는가?

누구에서 선언하고 신뢰를 얻고 싶은가?

 

네 번째 뿌리, 믿음

 

모든 성공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사랑하고 무엇보다 나에게 일어나는 모든 상황을 사랑해야 문제의 해법이 보인다. 돈이면 모든 행복을 다 거머쥘 수 있다고 믿었던 시절이 있었다. 그때는 승승장구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마음에는 늘 불안이 가득 차 있었다. 결국 나이 마흔에 모든 것이 무너지고 말았다. 가난하고, 뚱뚱하고, 난독증에 시달리고, 사업에 실패해 빚이 있는 나를 사랑하기란 쉽지 않았다. 하지만 나는 나를 사랑하기로 결심했다. 직업도 돈도, 친구도 없어 파리에서 지독하게 외로웠으나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했다.

나를 사랑하는 일의 핵심은 '없음' 보다 '있음' 에 집중하는 것이다. 나는 집이 있고, 아침에 눈을 뜰 수 있고, 걸을 수 있고, 한국 여자이며 건강하다는 사실에 집중했다. 그리고 매일 나에게 사랑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성공한 많은 사람들이 그랬듯이, 나를 믿기로 했다.

크게 성공한 사람들은 남들이 볼 때 허황된 꿈을 꾸면서도 한 치의 의심도 없이 꿈을 이루기 위해 전진한다. 그들이 과연 자신의 성공을 저절로 믿게 될 것일까? 아니다. 그들은 믿기로 결단한 것이다. 그렇기에 그 결단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온 힘을 쏟아붓는다. 만약 당신이 성공하고 싶다면 이런 믿음의 힘을 깨달아야 한다. (중략)

정말로 나는 켈리델리가 100% 성공할 거라고 알고 있었을까? 그렇게 믿어져서 믿었던 게 아니다. 나의 정신과 육체를 목표에 맞게 설정하기 위해, 그냥 믿어버린 것이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니...  

                                                                                                                         ( 히브리서  11장1 절)

 

믿음을 의심하고, 믿음에 대해서 불신해서는 믿음을 알 수 없다. 믿음은 지식이 아니다. 믿음은 논릭적이고 이론적인 사실이 아니다. 

믿음은 그 자체로 독립적이다. 믿음은 주체적이면서 적극적인 가장 강력한 힘이다. 믿음은 믿음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그냥 '앎' 이다. 알고 있는 것이다. 내가 그렇게 되었다는 것을...

 

"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니.... "   ( 히브리서  11장1 절 )

" 네 믿음대로 되리라"   ( 마태복음 9장 29절 ) 

 

이 말은 진리다. 그러니 의심하지 말고 믿음을 머리위에 두지 말고,  믿음의 반석위에 굳게 서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