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子曰 其爲人也孝弟요 而好犯上者 鮮矣니(유자왈 기위인야효제요 이호범상자 선의니)-學而2
有子曰 其爲人也孝弟요 而好犯上者 鮮矣니 不好犯上이요 而好作亂者 未之有也다. 君子는務本이니, 本立而道生 한다.
유자왈 기위인야효제요 이호범상자 선의니 불호범상 이요 이호작란자 미지유야다. 군자는 무본이니, 본립이도생 한다.
孝弟也者는 其爲仁之本與다.
효제야자는 기위인지본여 다.
유자가 말했다. " 그 사람됨이 효도하고 공경하면서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다. (또) 윗사람을 범하기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을 일으키는 좋아하는 자는 없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니, 근본이 서야 도가 생겨난다. 효(효도)와 제(공경)라는 것은 인을 행하는 근본이라 할 만하다!"
여기서 유자는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유약' 이다. 여러모로 공자를 닮았다는 평을 들었고 윤리와 질서를 중시하며 백성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정치가의 임무로 여겼다고 한다. '자'를 붙인 것으로 보아 공자의 제자들 중에서도 특히 존경을 받았던 인물들 중의 한 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유자가 말한 첫 대목 ' 其爲人也孝弟요 而好犯上者 鮮矣니 不好犯上이요 而好作亂者 未之有也다.' 는 사람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우리가 어떤 사람을 제대로 안다는 것은 곧 그 사람의 사람됨을 안다는 뜻이다. 즉 그 사람됨으로 보아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이나 윗사람을 공경하면서 윗사람에게 대들거나 거슬리는 행동을 하는 사람은 드물다는 것이다. 이어 윗사람을 범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서 반역이나 반란을 일으키기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고 단언한다. 이는 뒤집어 해석하면 부모와 친지에게 공근을 다하지 않는 사람은 어떤 조직에서도 제대로 조화를 이뤄 일할 수 없으며, 그런 사람은 결국 나라의 일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생각을 품고 있다가 화란을 일으키거나 그것에 휩쓸릴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것이 孝弟 다. 모든 것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仁 (인 - 어짊) 과 연결 지어 풀어낸 것이 두 번째 대목이다.
' 君子는務本이니,本立而道生 한다. 孝弟也者는其爲仁之本與 다' 군자는 근본에 힘을 써햐 한다. 이렇게 해서 근본이 확립되고 나면 마침내 道 가 자연스럽게 생겨나게 된다. 그런데 바로 孝 와 弟 가 仁 을 행함의 근본이다. 추상적일 수 있는 仁 에 도달하는 길은 바로 가장 가까운 이들을 향한 孝弟 에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근본에 힘쓴다는 ' 務本(무본)' 은 ' 學而時習(학이시습)' 의 習(습) 을 풀어낸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가의 최고 지도자는 사람을 쓰면서 누가 배신을 하지 않고 반란을 일으키지 않을 것인지를 알고자 온갖 노력을 다 한다. 제대로 사람을 쓰려면 그 사람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우선은 그사람이 해당조직이나 분야에서 윗사람을 함부로 범하는 사람인지 아닌지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그 사람이 윗사람을 함부로 범할지 아닐지는 결국 그가 일상생활에서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고 형이나 주변이 가까운 연장자들에게 공손한지를 눈여겨볼 때 어느 정도 미리 알 수 있다.
이한우 <논어로 논어를 풀다-以論解論>중에서
https://runthink0621.tistory.com/42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자왈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 有朋이 自薳方來면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이면 不亦君子乎 자왈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 유붕이 자원방래면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이면 불역군자호 공자는 말했
runthink0621.tistory.com